근로장려금은 근로 의욕을 높이고 소득이 적은 가구의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대표적인 복지제도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자신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 또 어떻게 계산하는지 몰라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오늘은 근로장려금 계산방법을 소득 기준, 가구 유형별로 쉽게 풀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올해 내가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금액을 미리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1. 근로장려금이란 무엇인가?
근로장려금이란 일정 소득 이하의 근로자 또는 자영업자, 전문직 종사자에게 정부가 현금을 지원하는 제도로, 매년 신청자격이 되는 경우 신청한 후 심사를 거쳐 지급되고 지급 대상은 크게 단독 가구, 홑벌이 가구, 맞벌이 가구로 나뉘며, 각 가구 유형과 총소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장려금의 액수가 달라집니다.
2. 근로장려금 계산방법은?
가구 유형 구분으로는 단독 가구는 배우자, 부양 자녀가 없는 가구 그리고 홑벌이 가구는 배우자 또는 18세 미만 자녀를 부양하며 가구원 중 한명만 소득이 있는 경우 마지막으로 맞벌이 가구는 배우자와 본인 모두 일정 이상의 소득이 있는 경우입니다.
소득 기준 및 지급액 기준으로 살펴보면 단독가구는 연 소득 2,200만원 이하 기준으로 최대 지급액 165만원 그리고 홑벌이 가구는 연 소득 3,200만원 이하 기준으로 최대 지급액 285만원 마지막으로 맞벌이 가구는 연 소득 3,800만원 이하 기준으로 최대 지급액 330만원이라고 합니다.
3. 근로장려금 직접 계산해보는 방법은?
근로장려금은 ‘총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요, 총소득이란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을 모두 합친 금액을 의미하며 홑벌이 가구가 1년 동안 총소득이 2,000만원일 경우, 최대 지급액인 285만원에 가까운 금액을 받을 수 있지만, 소득이 3,100만원일 경우에는 최대 지급액보다 적은 금액을 받게 됩니다. 직접 해보고 싶으시다면 국세청 홈택스에서 근로장려금 계산기를 돌려보시면 됩니다.
4.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과 시기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은 매년 5월에 정기 신청이 진행되며, 9월에는 반기 신청 기간이 있습니다. 신청은 국세청 홈택스 또는 모바일 앱인 손택스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근로장려금 계산방법을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자신이 어떤 가구 유형에 해당하는지, 또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미리 알아두면 근로장려금을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